맨위로가기

J. 로턴 콜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 로턴 콜린스는 미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1896년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태어나 웨스트포인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2 보병 연대 소위로 임관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제25 보병사단을 지휘하며 과달카날 전투와 뉴 조지아 전투에 참전하여 수훈 십자 훈장 등을 수여받았으며, 유럽 전선에서는 제7군단을 이끌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코브라 작전 등에 참여했다. 종전 후에는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하며 한국 전쟁을 지휘했으며, 1956년 퇴역 후 1987년 사망하여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 대장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 미국 육군 대장 - 콜린 파월
    콜린 파월은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여 국가안보보좌관, 합참의장,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특히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합참의장 및 국무장관으로 알려져 있다.
  • 오버로드 작전 관련자 - 코트니 호지스
    코트니 호지스는 미국의 육군 장군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제1군 사령관으로서 유럽 전선에서 연합군 승리에 기여했으며, 사병으로 입대하여 대장까지 진급, 뫼즈-아르곤 공세 참전, 라인 강 도하 작전 성공 등 굵직한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
  • 오버로드 작전 관련자 - 조지 S. 패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기동전 능력으로 명성을 얻은 미국의 군인 조지 S. 패튼은 과감한 지휘 스타일로 혁혁한 공을 세웠으나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전후에는 탈나치화 정책에 대한 이견으로 해임된 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 동문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 동문 - 찰스 린드버그
    찰스 린드버그는 1927년 단독 무착륙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아들 유괴 사건, 나치 독일과의 관계, 반유대주의적 발언 등 논란과 과학 연구, 저술 활동 등 복잡한 삶을 살았던 미국의 비행사이자 저술가이다.
J. 로턴 콜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8년 콜린스의 사진
1948년 콜린스의 사진
별명"Lightning Joe" (라이트닝 조)
출생일1896년 5월 1일
출생지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사망일1987년 9월 12일
사망지미국 워싱턴 D.C.
안장지알링턴 국립묘지
배우자글래디스 이스터브룩 (1921년 7월 15일 결혼)
형제/자매제임스 로턴 콜린스 (형)
친척제임스 로턴 콜린스 주니어 (조카)
마이클 콜린스 (조카)
군 경력
소속미국 육군
복무 기간1917년 – 1956년
군번0-5247
최종 계급미국 육군 대장
병과보병
지휘미국 육군 참모총장
미국 육군 부참모총장
미국 육군 부참모총장
제7군단
제25보병사단
제18보병연대 3대대
제22보병연대 3대대
참전제1차 세계 대전
라인란트 점령
제2차 세계 대전
솔로몬 제도 전역
과달카날 전역
뉴조지아 전역
오버로드 작전
노르망디 상륙
굿우드 작전
코브라 작전
팔레즈 포위전
지크프리트 선 공방전
몬스 포켓 전투
휘르트겐 숲 전투
벌지 전투
서부 연합군의 독일 침공
한국 전쟁
훈장육군 공로 훈장 (4회)
은성 무공 훈장 (2회)
공로 훈장 (3회)
청동성 훈장
기타
관련 인물제임스 로턴 콜린스 (형)
제임스 로턴 콜린스 주니어 (조카)
마이클 콜린스 (조카)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조셉 로턴 콜린스는 1896년 5월 1일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뉴올리언스에서 식료품점과 펍을 운영하는 아일랜드 가톨릭계 대가족의 열 번째 자녀 (아들 다섯, 딸 여섯)였으며, 그의 부모는 제레마이어 버나드 콜린스와 캐서린 (로턴) 콜린스였다. 그는 뉴올리언스, 알지어스에 있는 가톨릭 학교를 다녔고, 1912년 보이스 고등학교를 졸업했다.[1]

콜린스는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에 다니다가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의회 임명을 받으려 노력했다.[1] H. 갈랜드 듀프레 하원 의원에 의해 보결로 선발되었으나, 첫 번째 후보자가 자격을 갖추지 못해 콜린스가 최종적으로 임명을 받게 되었다.[1] 그는 1907년에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한 형 제임스 로턴 콜린스의 뒤를 이었다. 콜린스는 1913년 6월 14일부터 1917년 4월까지 웨스트포인트에서 수학했으며,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인해 그의 학급은 예정보다 일찍 졸업했다. 그는 139명의 동기 중 35등으로 졸업했으며, 스무 번째 생일 직전에 소위로 임관했다. 그의 동기생 중에는 매슈 리지웨이, 브라이언트 무어, 어니스트 N. 하몬, 윌리엄 C. 맥마흔, 노먼 코타, 로렌스 B. 카이저, 윌리엄 W. 이글스, 윌리엄 켈리 해리슨 주니어., 프레데릭 어거스터스 어빙, 마크 W. 클라크 등 훗날 유명한 장성이 된 인물들이 많았다.

임관 후 그는 제22 보병 연대에 배치되어 군 경력을 시작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1917년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4월 소위로 임관하여 제22보병연대에 배속되었다. 같은 해 5월 중위로, 8월에는 임시 대위로 진급했다. 그는 포트 실의 보병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917년부터 1919년까지 자신이 속한 연대와 함께 여러 지역에서 복무했다. 1918년 6월 정식 대위로 진급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임시 소령으로 진급하여 프랑스에서 제22보병사단 제3대대를 지휘했다. 1919년까지 프랑스에 주둔했으며, 이후 1920년부터 1921년까지는 독일 주둔 미군의 부참모장으로 바이마르 공화국에 머물렀다.[13]

3. 전간기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콜린스는 1919년 3월 10일 대위 계급으로 복귀했다. 그는 1920년부터 1921년까지 독일 주둔 미군에서 G-3 참모 장교로 참모장 보좌관으로 근무하며 라인란트 점령 기간 동안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복무했다. 1921년 7월 15일 코블렌츠에서 개신교 육군 군목 에드먼드 P. 이스터브룩의 딸인 글래디스 이스터브룩과 결혼했다.

결혼 후 콜린스는 1921년 8월 26일부터 1925년 6월 18일까지 미국 육군사관학교(USMA)에서 화학 강사로 재직했다. 이후 1926년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 있는 미국 육군 보병학교에서 장교 과정을 수료했고, 1927년에는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에 있는 미국 육군 야전포병학교에서 고급 과정을 마쳤다.

콜린스는 1927년부터 1931년까지 미국 육군 보병학교에서 무기 및 전술 강사로 활동했다. 이 시기에 그는 훗날 미국 육군 참모총장이 되어 그의 군 경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될 조지 C. 마셜을 처음 만났다. 1932년 8월에는 소령으로 진급했다.

1933년 8월 6일부터 1934년 5월 8일까지는 필리핀 마닐라에 주둔하며 제23여단 행정 장교 및 필리핀 사단의 G-2 참모장 보좌관으로 근무했다.

미국으로 돌아온 콜린스는 1937년 육군 산업 대학교(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국립 안보 및 자원 전략 학교)를 졸업하고, 1938년 미국 육군 전쟁대학을 졸업했다. 그는 1938년부터 1940년까지 미국 육군 전쟁대학 강사로 활동했다. 1940년 6월 25일 중령으로 진급했으며[2], 1941년 1월 15일에는 대령으로 진급했다.[2] 이후 1941년 제7군단 참모장이 되었다.[2]

4. 제2차 세계 대전

미국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직전인 1941년 1월, 콜린스는 임시 대령으로 진급했다.[2] 그는 빠르게 진급하여 1942년 2월 14일에는 준장, 같은 해 5월 26일에는 소장이 되었다.[2] 이 시기 그는 1941년 제7군단 참모장을 거쳐[2], 1941년부터 1942년까지 하와이 군관구 참모장을 지냈다.

이후 콜린스는 태평양 전선으로 이동하여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오아후에 주둔한 제25보병사단("트로픽 라이트닝")을 지휘했다. 그는 이 부대를 이끌고 과달카날 전투와 뉴조지아 전역 등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작전을 수행했다.

1944년 초, 콜린스는 유럽 전선으로 전임되어 제7군단의 지휘를 맡았다. 그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부터 나치 독일의 항복까지 제7군단을 이끌며 서부 유럽 전선에서 활약했다. 특히 제7군단은 코브라 작전에서 연합군 공세의 선봉에 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콜린스는 이 작전의 성공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유럽 전선에서 가장 뛰어난 미군 군단장 중 한 명으로 널리 인정받았다.

콜린스는 1945년 4월 임시 중장으로 진급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태평양과 유럽이라는 두 개의 주요 전선에서 모두 전투를 지휘한 몇 안 되는 미국 육군 고위 장성 중 한 명이었다.

4. 1. 태평양 전선

오른쪽은 제25사단을 지휘하는 J. L. 콜린스 소장, 왼쪽은 제3대대 지휘관 찰스 W. 데이비스 소령, 제27보병연대가 1943년 8월 14일 뉴 조지아에서 협의하고 있다.


1941년 대령으로 진급한 콜린스는 1941년부터 1942년까지 하와이 군관구 참모장을 역임했으며, 이 공로를 인정받아 수훈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1942년 2월 준장, 같은 해 5월에는 소장으로 빠르게 진급했다.

1942년 5월, 콜린스는 오아후에 주둔하고 있던 제25보병사단의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이 사단은 '트로픽 라이트닝'(Tropic Lightning, 열대 번개)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당시 46세였던 그는 미국 육군 최연소 사단장이었다. 콜린스는 자신의 높은 기준에 부합한다고 판단한 존 R. 호지 준장을 부사령관으로 특별히 선택했으며, 훗날 대장까지 진급한 호지는 콜린스의 기대를 충족시켰다.

콜린스는 제25보병사단을 이끌고 1942년부터 1943년까지 과달카날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작전을 수행했다. 이 전투 기간 동안 보여준 그의 맹렬함과 공격적인 성향 때문에 "라이트닝 조"(Lightning Joe)라는 별명을 얻었다. 과달카날 전투에서의 공로로 그는 수훈 십자 훈장, 공로 훈장, 은성 훈장을 추가로 수여받았다. 은성 훈장 수여 사유는 다음과 같다.

: 미국 대통령은 1918년 7월 9일 의회 법안에 따라 조셉 로턴 콜린스 소장(군번: 0-2274/0-5247), 미국 육군에게 은성 훈장을 수여하는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그는 제25보병사단 사단장으로 복무하면서 1943년 1월 11일 솔로몬 제도 과달카날에서 적과 교전 중 용감한 행동을 보여주었다. 그는 자신이 지휘하는 사단의 보병 대대 지휘소를 방문하기 위해, 적 저격병이 만연한 최근 점령지 약 731.52m를 걸어갔다. 그는 52고지에 도착하여 더 나은 관측 지점을 확보하기 위해 자신의 안전을 무시하고 간헐적인 소총, 기관총, 박격포 사격에 자발적으로 노출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적의 기관총 진지를 찾아내 직접 박격포 사격을 지원하여 그곳과 적이 점령할 가능성이 있는 다른 지역에 사격을 가했다. 적의 기관총 사격이 여러 번 그의 약 2.74m 앞에서 터졌다. 그의 침착함과 불굴의 용기는 그 지역의 보병 연대 장교와 병사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의 모범과 칭찬, 그리고 격려는 그가 전방 부대 병사들을 지속적으로 격려함으로써 그들을 분발하게 했고, 공세 작전의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용감한 행동과 헌신적인 직무 수행은 자신의 생명을 돌보지 않고 군 복무의 최고 전통에 부합하며, 그 자신, 그의 부대, 그리고 미국 육군에 큰 영예를 안겨주었다.[3]

과달카날 전투 이후 콜린스는 1943년 7월부터 10월까지 뉴조지아 전투에서도 제25보병사단을 지휘하며 일본군과 싸웠다.[14]

유럽과 태평양 양쪽 전선에서 싸운 경험을 바탕으로 콜린스는 두 전역의 적이었던 독일군과 일본군의 특성을 비교하기도 했다.

: 독일군은 일본군보다 잘 훈련되어 있었습니다. 우리가 싸웠던 일본군의 대다수는 훈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훈련된 지도자들도 없었고요. 독일군은 전문적인 군대였습니다. … 일본군들은 … 포병이나 보병의 지원 같은 혼성 부대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지 몰랐습니다. 그들은 그래도 용감한 병사들이었지요. … 그들은 매우 매우 열심히 싸웠습니다만 그들은 독일군만큼 숙련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독일군은 일본군의 끈기를 가지지는 못했지요.[14]

이후 콜린스는 유럽 전선으로 이동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의 남은 기간 동안 활약하게 된다.

4. 2. 유럽 전선

제이 로턴 콜린스 소장(오른쪽)이 1944년 7월 오마 브래들리 중장(왼쪽)에게 셰르부르 점령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태평양 전쟁의 뉴조지아 전역에서 복무한 후, 콜린스는 유럽 전구(ETO)로 전출되어 제7군단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이는 당시 영국에서 미국 제1군을 지휘하던 오마 브래들리 중장의 결정이었다. 브래들리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앞두고 상륙 작전 경험이 풍부한 지휘관을 원했고, 태평양 전선에서 실전 경험을 쌓은 콜린스를 적임자로 판단하여 기존 군단장 로스코 B. 우드러프 소장을 교체했다.[4] 콜린스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최고 연합군 사령관과의 면담에서 태평양에서의 전투 경험을 바탕으로 항상 고지를 점령하는 공격적인 전술을 강조했고, 브래들리는 이를 높이 평가했다.[4] 당시 47세였던 콜린스는 미군에서 가장 젊은 군단장이 되었다. 노르망디에서 콜린스 휘하에는 매튜 리지웨이 소장이 지휘하는 베테랑 제82공수사단도 포함되어 있었다.

제7군단은 1944년 6월 노르망디 상륙 작전(오버로드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후 노르망디 전투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코브라 작전에서는 연합군 공세의 선봉에 서서 독일군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 작전의 성공은 제21군집단 사령관 버나드 몽고메리 원수가 콜린스를 높이 평가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5]

코브라 작전 이후 제7군단은 팔레즈 포위전에 참여하여 노르망디 지역의 독일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이후 파리 해방과 라인강으로의 연합군 진격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1944년 9월 초에는 몬스 포위전에서 약 25,000명의 독일군 포로를 잡는 성과를 올렸다.[6] 제7군단은 계속 진격하여 지크프리트 선을 돌파하고 휘르트겐 숲 전투에서 격전을 치렀다.[7] 또한, 서부 전선 최대 규모의 전투였던 벌지 전투에서도 독일군의 공세를 막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최종적으로 서부 연합군의 독일 침공에 참여하여 나치 독일의 항복을 받아내는 데 기여했다. 콜린스는 코브라 작전에서 제7군단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작전 계획 수립에도 상당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제7군단을 지휘하는 J. L. 콜린스 소장, 제21군집단 사령관 버나드 몽고메리 원수와 제18공수군단 사령관 매튜 리지웨이 소장, 1944년 12월


유럽과 태평양 양쪽 전선에서 독일군일본군을 모두 상대해 본 몇 안 되는 미군 고위 지휘관 중 한 명으로서, 콜린스는 두 적군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비교하기도 했다.

: "독일군은 일본군보다 훨씬 숙련되었다. 우리가 싸운 일본인 대부분은 숙련된 군인이 아니었다. 숙련된 지휘관도 아니었다. 독일군은 전문적인 군대였다... 일본군은 우리만큼 포병과 보병 지원을 결합하는 방법을 몰랐다. 그들은 용감한 군인이었지만... 그들은 매우, 매우 열심히 싸웠지만 독일군만큼 숙련되지 않았다. 하지만 독일군은 일본군의 끈기를 갖지 못했다."[14][8]

콜린스는 1945년 4월 임시 중장으로 진급했으며, 6월에는 정식 준장 계급을 받았다. 그의 상관이었던 오마 브래들리 장군은 콜린스를 매우 높이 평가했으며, 만약 유럽 전선에 미군 야전군이 하나 더 창설되었다면 콜린스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심지어 적이었던 독일군 고위 지휘관들 사이에서도 콜린스는 제8군단을 지휘한 트로이 H. 미들턴 중장과 더불어 서부 전선의 최고 미군 군단장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 전쟁 중 세운 공로로 콜린스는 육군 공로 훈장 세 번, 은성 훈장 두 번, 공로 훈장 두 번을 수여받았다.[9] 또한, 소련으로부터 수보로프 훈장 2급을 두 차례 받기도 했다.[10]

5. 종전 이후

1945년 4월 임시 중장, 같은 해 6월 정규군 준장으로 진급했다.

월턴 워커, 존 H. 처치와 함께 한국에 있는 콜린스


전후, 콜린스는 1945년 8월부터 12월까지 육군 지상군의 부사령관 겸 참모장을 역임했다. 이후 1945년부터 1947년까지 미국 육군의 정보국장(후에 공보국장)을 지냈다. 1947년부터 1949년까지 부참모장, 이후 미국 육군 참모차장을 지냈으며, 1948년 1월 임시 대장 및 정규 소장으로 진급했다.

콜린스는 1949년 8월 16일부터 1953년 8월 15일까지 미국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한국 전쟁에서 육군의 최고위 장교로서 역할을 수행했다.[1] 전시 참모총장으로서 그의 주요 책임은 충분히 훈련되고 장비를 갖춘 군인들을 한국에 파병하는 것이었다. 그는 육군의 철도 운영을 지휘했고, 최초의 특수 부대 그룹을 전투 서열에 포함시켰으며, 새로 창설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대한 육군의 기여를 개발하는 데 밀접하게 관여했다.

1953년부터 1954년까지 NATO 군사 위원회 및 상설 그룹의 미국 대표를 맡았다. 이후 1954년부터 1955년까지 대사급으로 베트남의 미국 특별 대표를 역임한 뒤 다시 NATO 관련 임무를 수행했다. 그는 거의 40년간의 군 복무를 마치고 1956년 3월 현역에서 은퇴했다.[1]

알링턴 국립묘지에 있는 조셉 콜린스의 묘


콜린스는 1987년 9월 12일 워싱턴 D.C.에서 9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1]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11]

6. 한국 전쟁



콜린스는 1949년 8월 16일부터 1953년 8월 15일까지 미국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했으며, 이 기간 동안 발발한 한국 전쟁에서 육군의 최고위 장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전시 참모총장으로서 그의 주요 책임은 충분히 훈련되고 장비를 갖춘 군인들을 대한민국에 파병하는 것이었다.

그는 육군의 철도 운영을 지휘했으며, 최초의 특수 부대 그룹을 전투 서열에 포함시키는 데 기여했다. 또한, 새롭게 창설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대한 미 육군의 기여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깊이 관여했다.

7. 한국 전쟁 이후

미국 육군 참모총장 임기를 마친 후, 콜린스는 1953년부터 1954년까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군사 위원회 및 상설 그룹에서 미국 대표를 맡았다. 이후 1954년부터 1955년까지는 대사급으로 베트남에서 미국 특별 대표로 활동했으며, 다시 NATO 관련 임무로 복귀했다.

콜린스는 약 40년간의 군 복무를 마치고 1956년 3월 현역에서 은퇴했다. 그는 1987년 9월 12일, 91세의 나이로 워싱턴 D.C.에서 사망했으며,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11]

8. 사망

콜린스는 워싱턴 D.C.에서 1987년 9월 12일 사망했다. 그는 알링턴 국립 묘지에 묻혔다.[15]

9. 진급 내역

wikitext

계급장계급소속날짜
당시 핀 계급장 없음소위제22보병연대1917년 4월 20일
중위제22보병연대1917년 5월 15일
대위제22보병연대 (임시)1917년 8월 5일
--대위보병1918년 6월 25일
소령제22보병연대1918년 9월 9일
--대위보병1919년 6월 25일 (대위 계급으로 복귀)
--소령보병1932년 8월 1일
중령보병1940년 6월 25일
대령미 육군1941년 1월 15일
준장미 육군1942년 2월 14일
소장미 육군1942년 5월 26일
중장미 육군1945년 4월 16일
--준장정규 육군1945년 6월 19일
--소장정규 육군1948년 1월 24일
대장미 육군1948년 1월 24일
--대장정규 육군, 퇴역1956년 3월 31일


참조

[1] 뉴스 Joseph L. Collins West Point Cadet https://www.newspape[...] 1913-06-03
[2] 웹사이트 Biography of General James Lawton Collins (1896−1987), USA https://generals.dk/[...]
[3] 웹사이트 Valor awards for Joseph Lawton Collins https://valor.milita[...] Military Times
[4] 서적 Bradley: A Biography
[5] 서적 Field Marshal Bernard Law Montgomery, 1887–1976: A Selected Bibliography
[6] 웹사이트 The Mons Pocket, or the "Petit Stalingrad" of the Borinage https://europerememb[...] Liberation Route Europe Foundation 2021-03-21
[7] Motion picture D-Day to Germany: Cameraman Jack Lieb comments on original footage of 1944-45 https://www.youtube.[...] CHRONOS-MEDIA History 2021-10-21
[8] 간행물 No. 5 Conversations with General J. Lawton Collins http://www.cgsc.edu/[...]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1983
[9] 웹사이트 Joseph Lawton Collins https://valor.milita[...]
[10] 서적 Uncommon Allies: U.S. Army Recipients of Soviet Military Decorations in World War II Teufelsberg Press
[11] 웹사이트 Burial Detail - Collins, Joseph L. https://ancexplorer.[...] United States Army 2024-08-30
[12] 영상 Video: Dragon's Teeth http://www.archive.o[...] U.S. Army Pictorial Service 2012-02-21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Korean War http://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3-19
[14] 간행물 No. 5 Conversations with General J. Lawton Collins http://www.cgsc.edu/[...]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1983
[15] 웹사이트 http://www.findagra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